반응형

S&P500 2

급락장은 시장이 공짜로 주는 복리의 시점

지난 주말 미 증시의 폭락은 트럼프 발언, 관세 변수, 환율 불안 등 뉴스성 충격에 의한 단기 급락으로 볼 수 있다.기업 실적, 고용지표, 소비 데이터 등 기초 체력은 그대로이다.즉, 이번 하락은 구조적 하락이 아닌 가격 리셋 구간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 할까? 우선 패닉 매도를 자제한다. 매도는 감정적 해소일 뿐이라는 생각을 갖고, 시장의 일시적 변동을 소음으로 간주하고 포지션을 유지한다.규칙적으로 지수추종 ETF의 분할매수 루틴을 유지한다.단, 하락폭이 정해진 매매루틴(예를 들어 하락폭이 -5% 이상)을 벗어난다면 추가 매수진행환율이 1,400원 이상이면 환전 속도는 늦추되, 매수 자산은 유지미국발 관세 뉴스는 정치 이벤트로, 일시적 충격은 있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증시가 회..

Investment&Action 2025.10.13

미 증시 '와르르', 무언가를 하지 않으려는 인내심이 필요했다.

미 증시 '와르르'... 트럼프 한마디에 가상화폐도 폭락"희토류 통제""중국 관세 인상 검토" 장중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테슬라 등 주요 기업 주가가 하락하며10월 11일 토요일... 아침 8시가 애프터마켓이 끝났다.그날 새벽, 돌아올 불확실성을 보았고 일부 매도를 하였다.하지만 이 선택은 주말 내내 아쉬움을 남겼다. '월요일 시장이 폭락하진 않을까?'이 공포에 매매 시스템을 멈추고 규칙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S&P500 6,552.51 ▼ 182.60(2.71%)VOO $619.60 -> $594.31 -> $600.51 찰리멍거라면 어떤 메시지를 던졌을까?"당신이 VOO를 샀다는 건,미국의 생산성과 자본주의의 복리 구조를 산 것이다.그 구조가 하루아침에 무너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Investment&Action 2025.10.12
320x1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