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붕괴사고 2

파이프가 붕괴되며 중대재해 발생... 어떤 조치사항이 이뤄졌을까?

파이프 보관 중 작업자 1명이 사망하고 다른 한 명은 두 다리를 잃는 사고가 발생했었다. 스택 파이프가 붕괴에 대한 안정성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기계 작동 시 보호장비, 전기 절연보호 장갑 검사, 미끄럼 방지 조치, 개구부 떨어짐 조치 등의 위반 사항도 적발되었다. 이런 중대재해가 발생한다면 어떤 조치가 취해질까?OSHA는 약 44만 달러의 벌금 지불명령과 함께 다음 조치사항을 명령했다.1.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안전 및 건강 프로그램을 30일 이내에 개발하고 매월 현장 감사 및 보고서 사본을 제공한다.2. stacking yard 직원들에게 안전 훈련을 실시한다.3. 가연성 물질을 보관하는 경우 전기 배선 및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한다.4. 안전 코스를 이수한 전담 안전보건 전문가를 고용한..

보강토 붕괴로 매몰된 재해자

사고 개요 2021. 6. 1.(화), 13:44분경 충청남도 논산시 소재 개축 공사 현장에서 보강토 설치 구간 전면 하부 굴착 및 원형 배관 설치 작업 중 보강토 붕괴로 매몰로 1명 사망, 1명 중상. 관계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0조(붕괴ㆍ낙하에 의한 위험 방지) 사업주는 지반의 붕괴, 구축물의 붕괴 또는 토석의 낙하 등에 의하여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 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지반은 안전한 경사로 하고 낙하의 위험이 있는 토석을 제거하거나 옹벽, 흙막이 지보공 등을 설치할 것 2. 지반의 붕괴 또는 토석의 낙하 원인이 되는 빗물이나 지하수 등을 배제할 것 3. 갱내의 낙반ㆍ측벽(側壁) 붕괴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지보공을 설치하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