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지표 [도수율, 강도율, 사망만인율, 연천인율] 산업재해 지표는 재해 발생 현황과 특징을 정량화하여, 조직의 안전수준 평가와 비교를 위한 지표로 활용된다. 주요 지표로는 도수율, 강도율, 사망만인율, 연천인율 등이 있다. ▶ 산업재해 지표 및 해석 예시 예를 들어, A사업장의 도수율이 2로 산출되었다면, 100만 시간당 발생한 재해건수는 2건이다. 동종업체인 A사업장의 도수율은 2, B사업장의 도수율은 0.8이라면, A사업장의 재해 빈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Certificate Data/인간공학 2025.08.04
산업재해통계 재해율&도수율 & 강도율 개요 산업재해에 관한 조사 및 통계의 유지ㆍ관리를 이행하기 위해 재해율, 도수율, 강도율을 정의한다. 재해율(천인율) 1. 근로자수 100(1,000)인당 발생하는 재해자수의 비율 2. 도수율(또는 빈도율) 1. 100만 근로시간당 재해발생 건수 2. 강도율 1. 근로시간 합계 1,000시간당 재해로 인한 근로손실일수 2. 용어 1. 근로자수라 함은 일용·상용 구분없이 사업장에 종사하는 모든 근로자의 수를 말한다. 2. 재해자수라 함은 사망 및 근로복지공단에 최초 요양신청서(재진 요양신청이나 전원 요양신청시를 제외한다)를 제출한 재해자중 요양승인을 받은 자와 지방노동관서에 산업재해조사표가 제출된 재해자를 합산한 수를 말한다. 관련 자료 1. 행정규칙, 산업재해통계업무 처리규정 Certificate Data/산업안전 2021.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