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전사고 11

변압기와 전주가 접촉하며 작업자 감전사 발생

24년 11월 4일 07:50경 충남 홍성군 금마면 인근 전주 철거 작업 현장에서 전주를 지지하는 크레인의 와이어가 인근 변압기와 접촉되며 전주의 아랫부분을 붙잡은 재해자가 감전되어 병원 이송 중 사망했다. 작업자가 충전전로 인근에서 작업할 경우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아래와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① 사업주는 충전전로 인근에서 차량, 기계장치 등(이하 이 조에서 “차량등”이라 한다)의 작업이 있는 경우에는 차량등을 충전전로의 충전부로부터 300센티미터 이상 이격시켜 유지시키되, 대지전압이 50킬로볼트를 넘는 경우 이격시켜 유지하여야 하는 거리(이하 이 조에서 “이격거리”라 한다)는 10킬로볼트 증가할 때마다 10센티미터씩 증가시켜야 한다. 다만, 차량등의 높이를 낮춘 ..

광주 타이어 공장 감전사고 발생... 현장 배전반 점검

- 배전반 점검 중 감전으로 사망  24년 8월 19일 11:55경 광주 광산구 소재 타이어 공장 내 전기공사 현장에서 배전반 점검 작업 중인 재해자가 활선상태인 단자에 접촉하여 감전으로 사망했다. - 충전전로의 정비, 점검 시에는 해당 전로를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차단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 해당 전압에 적합한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고,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한 후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1. 전기기기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관련 도면, 배선도 등으로 확인.2. 전원을 차단한 후 각 단로기 등을 개방하고 확인.3. 차단장치나 단로기 등에 잠금장치 및 꼬리표를 부착.4. 개로된 전로에서 유도전압 또는 전기에너지가 축적되어 근로자에게 전기위험을 끼칠 수 있는 전기기기등은 접촉하기 전에 잔류전하..

서산서 전신주 고압 감전사...중대재해법 조사

- 전신주 작업 중 감전되어 사망 13일 10:00경 충남 서산시 전신주 설치 현장에서 사고 발생.고소작업대 탑승하여 전도방지 연결작업 중 활선에 감전되어 재해자가 사망했다.  1. 사업주는 근로자가 전기기기등의 전기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유자격자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해야한다. 2. 노출된 충전부 부근에서 작업할 경우 충전전로를 정전, 방호 및 차폐, 절연용 보호구 착용 등을 해야하며, 고압 및 특별고압의 전로에서 전기작업을 하는 근로자는 활선작업용 기구 및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3. 충전전로의 선간전압이 22.9kV에서 유자격자가 작업 시 전압에 적절한 절연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접근한계거리 이내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 유사한 작업 중 전선 연결 작업 중 발생한 산업안전(사망) 사고 판결 ..

시흥 전기차 충전소 감전 사고 발생

분전반 내부 작업 중 감전사고가 발생했다.재해자는 경기 시흥시 아울렛 전기차 충전소에서 발견됐다. (24년7월24일)분전반 내부 차단기나 케이블 라벨링을 부착하는 인식표 교체작업 중 감전된 것으로 보인다. 작업에 들어가기 전 해당 전로는 차단시켜야하며, 검전기로 작업 대상이 충전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또한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한 후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삼각지역 지하철 조명 작업 중 감전사고 발생

17일 서울 지하철 삼각지역에서 조명 설치 작업 중 작업자가 감전돼 사망했다.환기구 내부 조명 및 배선 설치 작업 중 차단기를 내리지 않고 작업을 하다 감전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약칭 : 안전보건규칙) 제319조 정전전로에서의 전기작업 시 사업주는 근로자가 노출된 충전부 또는 그 부근에서 작업함으로써 감전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해당 전로를 차단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전로 차단은 아래 각 호의 절차에 따라 시행한다.1. 전기기기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관련 도면, 배선도 등으로 확인할 것 2. 전원을 차단한 후 각 단로기 등을 개방하고 확인할 것 3. 차단장치나 단로기 등에 잠금장치 및 꼬리표를 부착할 것 4. 개로된 전로에..

전기설비 VCB패널 내 단자 접촉되어 감전사고

- 서울 3호선 연신내역 감전사고 발생 전기실 VCB패널 내 케이블 표시 스티커를 부착 중 감전사고가 발생했다.즉시 심폐소생술 후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재해자는 사고로 숨졌다.전기 작업을 하는 경우 사전에 현장 및 도면을 검토하고 PF 투입상태 등 확인(통전여부 확인이 어려워), 해당 충전부 절연용 방호구 설치 및 위험한계 이내 접근 시 활선접근경보기 등 착용 및 정상작동 확인이 필요하다.

한전 협력업체 근로자 감전 사망사고

□ 사고 개요 2021년 11월 5일 16:00 경, 오피스텔 전력 공급 작업 중이던 재해자가 감전사고를 당해, 몸 전체 40%에 3도 화상을 입고 같은달 24일에 사망했다. □ 기사로 보는 재해원인 1. 작업계획서 미작성 ‘한전 하청노동자 감전사’ 작업계획서 미작성·업체간 업무절차 위반 - 안전신문 한국전력 하청노동자 감전사고 관련, 사고 당일 작업 개시 전 안전작업요령 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서가 작성되지 않았고 원청인 한전이 작업 지시한 작업통보사항을 하청 공사업체간 임의로 변 www.safetynews.co.kr 2. 불안전한 상태(감전방지 차량인 활선차를 미배치) [단독] 한전 하청, 감전방지 차량 없는데도 현장 투입시켰다 한전은 원칙 지켜지는지도 확인 안 해 www.hani.co.kr 3. 불안전..

반응형